최근 모 방송에서 조선시대의 화원 장승업을 다루면서 엉뚱한 사람의 그림을 장승업의 그림으로 소개해서 논란이 된 적이 있다. 이른바 스타 강사들이 출연해 사회, 경제, 역사, 미술 등 다양한 인문학 분야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나가는 프로그램이라 고정 시청자를 많이 확보하고 있는 방송 프로그램에서 이런 실수를 저질렀기 때문에 그만큼 시청자들이 받은 충격은 컸다.오원 장승업은 안견, 김홍도와 함께 조선 시대 3대 거장으로 꼽힌다. 그림에 대한 재능의 천재성만 놓고 본다면 단연 장승업을 조선 최고의 화가로 꼽는데 주저할 사람이 없을 만큼 뛰어난 재능을 가졌지만, 스타 강사마저도 제대로 모를 만큼 그에 대한 자료나 기록은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는 그야말로 미스터리 속의 인물이다. 다만 남아 있는 그의 그림을 통해서 그의 화풍과 천재성을 짐작해 볼 수 있을 뿐이다.
오원 장승업은 1843년에 태어나 1897년에 죽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의 부모와 출신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고 다만 어린 나이에 고아가 된 그는 이 집 저 집을 전전하며 살 수밖에 없었는데, 장지연의 『일사유사(逸士遺事)』 장승업전에 의하면 당시 수표교에 사는 역관 이응헌이라는 사람의 집에서 하인으로 일을 하게 된 것이 그림을 제대로 배우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응헌은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를 세상에 알린 김정희의 제자 이상적의 사위로서 장승업이 비록 신분이 미천하지만 그림에는 천재적 소질이 있음을 알아보고 어깨너머로나마 그림을 배울 수 있도록 허락을 했던 것이다.
그 뒤 장승업은 도화서 화원이었던 유숙에게 정식으로 그림을 배우게 되었고, 그의 그림 솜씨는 곧 온 장안의 화제가 되었다. 그러나 천한 신분으로 글자를 전혀 배우지 못한 그는 자기가 그린 그림에 서명도 할 수 없었고 제목도 붙일 수 없었다. 이런 이유로 항상 다른 화원들로부터 멸시를 받아야 했고 그럴수록 그는 더욱 그림에 몰두했는데, 그림을 그리는 동안만은 이러한 고뇌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자신의 그림에 대한 자부심이 높았던 그는 이미 불멸의 화가로 이름을 날리고 있던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처럼 되는 것이 꿈이었다. 단원, 혜원이 모두 호에 ‘원(園)’이라는 글자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는 스스로 ‘나(吾)도 원(園)이다’라는 뜻으로 자신의 호를 ‘오원(吾園)’으로 지었다고 한다. 그런 만큼 그는 항상 그들과 견주어도 스스로 만족할 만한 그림을 그리고자 고민하였다. 하지만 아무리 훌륭한 그림을 그려도 천한 출신과 문맹을 이유로 헐뜯으려고만 하는 주위 사람들에 대한 분노를 억누를 수가 없었다. 그래서 그는 술을 마시게 되었고 술 없이는 살 수 없는 중독자가 되어 술만 가져오면 누구에게든 언제든지 그림을 그려주는 사람이 되고 말았다.
풍류를 좋아했던 고종이 장승업의 소문을 듣고 그의 그림을 얻기 위해 그를 궁정화가로 임명하고자 했다. 그러나 천민 출신인 그를 무작정 궁궐로 불러들일 수 없어 그를 화원에 임명하고 감찰이라는 정6품의 관직도 주었다. 그러나 관복을 입고 상투를 틀고 관을 쓰는 것이 너무나 거추장스러웠던 그는 핑계를 대고 궁궐을 빠져나와 유흥가로 숨어버렸다. 며칠 뒤 잡혀들어간 그는 여러 사람이 감시하는 가운데 그림을 그려야만 했는데 이런 분위기가 그에게 맞을 리가 없어 또 다시 며칠을 진척 없이 보내다가 감시하는 사람들이 지쳐 잠든 사이 도망을 쳤다. 이렇게 몇 번을 도망치고 잡히기를 거듭하자 고종도 그를 포기하고 말았다.
현재 오원의 작품은 140여 점이 전해지고 있다. 그의 작품이 조선시대의 여느 작가보다 많이 남아 있는 것은 그가 죽은 지 겨우 100년 남짓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겠지만 여기에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한번 마음먹으면 단숨에 그려내는 방식과 술만 가져오면 누구에게든 그림을 그려 주는 독특한 취향이 그것이다. 늘 술을 껴안고 살았기에 그에게는 취명거사(醉暝居士)라는 또 다른 호가 하나 붙어 다녔고, 유작 중에는 ‘신품(神品)’이라는 평가가 어울리지 않은 것들도 많이 있다.
그는 누구보다 술 주는 사람을 좋아했고 술만 주면 누구에게나 그림을 그려줬다. 그림을 그려 돈이 생기면 아예 전부를 주막에 맡겨 두고 술을 마셨다. 이 같은 사실을 알기에 그의 그림을 얻고 싶은 사람은 술로 그의 마음을 사로잡으려 했고 그에게 접근하는 방법은 술이 최고였다. 고종은 이 같은 오원의 성향을 몰랐기 때문에 그림을 그리는 동안 술을 못 마시게 했고 끝내 그토록 원했던 오원의 병풍 그림을 갖지 못했다. 술 한 잔에도 그려 주는 그림을 최고 권력자였던 고종은 얻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나 그의 주벽 때문에 우리도 겪는 어려움이 있다. 진품을 가려내기 힘들다는 것이다. 우선 그가 사용한 낙관이 일정하지가 않다. 낙관은 그린 사람을 말해 주는 유일한 근거이기 때문에 화가들은 이를 매우 소중하게 다룬다. 하지만 오원은 낙관에 집착하지 않고 이리저리 굴리다 술에 찌들어 잊어버리는 일이 다반사였다. 낙관 외에도 그의 진품 여부를 혼란스럽게 만드는 이유는 또 있다. 그림을 그리다 말고 술을 먹겠다며 일어선 때가 한두 번이 아니요, 술을 마시고 그림을 그리다가 그대로 잠이 든 적도 적지 않았다. 그럴 경우 그림은 당연히 미완성으로 남아야 하지만 술을 사 주고 그림을 원했던 사람들의 기대를 저버릴 수 없어 제자들이 나머지 부분을 채워 넣는 경우가 많았던 것도 진품을 구별하기 어렵게 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민병삼 교수가 쓴 소설 『오원 장승업』이나 이를 토대로 임권택 감독이 제작한 영화 ‘취화선(醉畵仙)’은 일반인들의 장승업 이해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소설이나 영화는 장승업에 대해 전해지는 이야기들을 기본으로 재미를 더했기 때문에 한 위대한 화가의 전기로 자칫 오해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비록 그의 생애나 역사에 대한 기록이나 기술이 미미하더라도 그의 작품만을 놓고 평가한다면 그를 19세기 한국 화단의 최고봉으로 꼽는 데 주저할 사람이 없을 것이다.
이차봉
엘림에듀(Elim Education Center) 대표
Comments
Post a Comment